카카오톡을 사용할 때 원치 않는 자동 업데이트와 불편한 숏폼 피드 때문에 고민해본 적 있으신가요? 지금 바로 설정을 바꾸면 불필요한 업데이트를 막고 더 쾌적하게 카톡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 알려드리는 방법으로 시간을 절약하고 스트레스도 줄여보세요.
안드로이드 카카오톡 자동 업데이트 끄기
안드로이드에서는 개별 앱 단위로 자동 업데이트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.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카카오톡을 검색한 후, 우측 상단의 메뉴 버튼을 눌러 '자동 업데이트 사용'을 해제하면 됩니다. 이때 업데이트 버튼을 누르기 전에 먼저 해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아이폰에서 카톡 업데이트 차단하기
iOS는 개별 앱 설정이 불가능해 모든 앱의 자동 업데이트를 한 번에 꺼야 합니다. [설정] → [App Store]로 이동한 뒤 '자동 다운로드' 항목의 앱 업데이트 기능을 비활성화하세요. 다만 이 경우 다른 앱도 모두 수동으로 업데이트해야 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.
숏폼·피드 기능 최소화 방법
최근 카톡 업데이트에서 논란이 된 '친구 탭 피드'는 불편을 유발합니다. 이를 줄이려면 친구 목록 정렬 방식을 [업데이트순]에서 [가나다순]으로 바꾸세요. 그러면 원치 않는 피드 노출이 줄어들고 기존처럼 편리하게 친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구버전 설치와 백업 전략
자동 업데이트 차단만으로 만족하지 못한다면 구버전을 설치하는 방법도 있습니다. 이때는 대화 내용 손실을 막기 위해 반드시 백업을 먼저 진행하세요. 이후 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에서 APK 파일을 받아 수동으로 설치하면 됩니다.
자동 업데이트 차단 설정 요약
운영체제별 카카오톡 업데이트 차단 방법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.
구분 | 설정 방법 | 주의사항 |
---|---|---|
안드로이드 | 구글 플레이 스토어 → 카카오톡 검색 → 메뉴 → 자동 업데이트 해제 | 업데이트 버튼 누르기 전에 설정 해제 |
아이폰 | 설정 → App Store → 자동 다운로드 해제 | 모든 앱 수동 업데이트 필요 |
공통 | 친구 목록 정렬 변경(가나다순) | 피드 노출 최소화 가능 |
결론
카카오톡 자동 업데이트를 끄는 것은 불필요한 기능 추가로부터 자유로워지는 첫걸음입니다. 안드로이드와 아이폰 각각의 특성에 맞는 방법을 적용해 보세요. 필요하다면 구버전 설치까지 고려할 수 있으며, 무엇보다 중요한 건 본인에게 맞는 환경을 만드는 것입니다.
Q&A
Q1. 자동 업데이트를 꺼도 강제 업데이트가 될 수 있나요?
네, 카카오 측에서 보안 문제로 강제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설정을 꺼두면 업데이트 시기를 늦출 수 있습니다.
Q2. 아이폰에서 특정 앱만 업데이트를 막을 수 있나요?
불가능합니다. iOS는 전체 앱 자동 업데이트를 묶어서만 차단할 수 있습니다.
Q3. 구버전 설치 시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?
반드시 대화 내용을 백업하고,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APK 파일을 다운로드해야 합니다.
Q4. 친구 탭 피드가 불편할 때 가장 쉬운 해결 방법은?
정렬 방식을 [가나다순]으로 바꾸면 피드 노출이 줄어듭니다.
Q5. 자동 업데이트를 꺼도 알림이 계속 뜨는데 방법이 있나요?
앱 알림 설정에서 업데이트 알림을 개별적으로 끄는 방법을 병행하면 도움이 됩니다.